맨위로가기

PGM-11 레드스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GM-11 레드스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V-2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된 미국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개발이 시작되어 1952년부터 생산되었으며, 크라이슬러가 생산을 담당했다. 냉전 초기 소련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탄두를 탑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500kt의 W18 또는 3.8MT의 W39 핵탄두를 장착했다. 1961년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1964년 퍼싱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레드스톤 미사일을 기반으로 주피터-C 로켓, 머큐리-레드스톤 발사체 등이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우주 개발 - PGM-17 토르
    PGM-17 토르는 미국이 개발하여 영국에 배치, 소련 핵 공격 임무를 수행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후에 델타 로켓으로 발전하여 우주 발사체 개발에 기여하고 대한민국 로켓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 1960년 우주 개발 - 코로나 (위성)
    코로나(CORONA)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72년까지 미국이 소련 군사력 감시를 위해 운용했던 위성 정찰 프로그램이며, 필름을 지구로 반환하여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하고 기밀 해제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 페이퍼클립 작전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페이퍼클립 작전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베르너 폰 브라운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 베르너 폰 브라운 - 중거리 탄도 미사일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3,000~5,500km 사거리의 탄도 미사일로, 냉전 시대 미사일 경쟁을 통해 발전했으며, 현재 여러 나라에서 운용되고 있고, 특히 북한의 미사일은 동북아시아 안보에 위협이 된다.
PGM-11 레드스톤
개요
1958년 9월 17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레드스톤 No. CC-56
1958년 9월 17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레드스톤 No. CC-56
종류전술 탄도 미사일
단거리 탄도 미사일
운용 기간1958년–1964년, 1966년-1967년
사용 국가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설계육군 탄도 미사일국
설계 시기1950년–1952년
제작사크라이슬러
생산 시기1952년–1961년
생산 대수육군 탄도 미사일국: 27기
크라이슬러: 101기
(85기 생산 모델)
파생형블록 I, 블록 II
제원
발사 시 중량
정확도CEP
탄두W39 핵탄두,
엔진
엔진 종류로켓다인 노스 아메리칸 에비에이션 75–110 A-7
추진제에틸 알코올
액체 산소
엔진 추력해수면에서 추력, 121초 동안 작동
연료 용량알코올:
액체 산소:
과산화수소:
부스트97초에서 155초
속도재진입 시 최대 마하 5-6
유도 및 제어
유도 방식포드 인스트루먼트 컴퍼니 ST-80 관성 항법 장치
조종탄소 제트 베인, 공기 러더, 공간 공기 제트 노즐, 공기 베인
발사대유도 미사일 플랫폼 발사대 M74

2. 역사



레드스톤 미사일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V-2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4]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독일 로켓 기술자들은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V-2 로켓 기술을 활용하여 레드스톤 미사일을 개발했다.[4]

1950년 앨라배마 주 헌츠빌의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에서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지대지 미사일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1952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34] 크라이슬러가 1952년에 미사일 생산과 지원 장비 생산을 수주하여 미시간 주 워렌의 미시간 미사일 공장에서 생산했다.[34] 노스아메리칸 항공기 회사의 로켓다인 부문은 로켓 엔진을 공급했고, 스페리 랜드 사의 일부 부문인 포드 인스트루먼트 사는 유도 및 제어 장치를 공급했으며, 레이놀즈 메탈 사는 크라이슬러 사의 하청업체로서 동체 조립을 맡았다.[34]

1953년 8월 20일 케이프 커내버럴의 LC-4A에서 첫 번째 레드스톤 미사일이 발사되었으나, 엔진 고장으로 1분 20초 만에 바다로 추락했다. 1954년 1월 27일에 실시된 두 번째 시험에서는 미사일이 55마일(88.5km)을 비행하며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4]

냉전 초기, 미국은 소련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레드스톤 프로그램은 핵전쟁에 대한 서로 다른 아이디어 때문에 육군과 공군 사이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육군은 전술 전장 무기로 소형 탄두를 이동식 미사일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ICBM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공군은 소련의 목표를 타격하고 소련의 인프라와 전쟁 수행 능력을 빠르게 마비시킬 수 있는 대형 대륙 횡단 미사일을 원했다.

1958년 8월, 레드스톤은 500kt의 W18 "Super Oralloy" 탄두 또는 3.8MT의 W39 수소 폭탄을 장착하고 태평양의 존스턴 섬에서 실시된 하드택 작전에 사용되었다.

발사 전에 연료를 주입할 필요가 없는 저장 가능한 새로운 고체 연료 미사일의 등장으로 레드스톤은 쓸모없게 되었고 1961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1964년, 레드스톤 미사일은 퍼싱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1950년 앨라배마 주 헌츠빌의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에서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개발이 시작되었고, 1952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34] 크라이슬러가 생산을 담당했고, 로켓다인은 로켓 엔진을, 포드 인스트루먼트 사는 유도 및 제어 장치를 공급했다.[34]

1953년 최초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부대 배치는 1958년 6월에 시작되었다.[13][14] 핵미사일로 서독 주둔 제40 야전 포병군에 배치되었다. 1958년부터 1964년 6월까지 서독의 Kreuznach와 Wackernheim에 배치되었으며, 제46 특과군으로 1959년부터 1964년 6월까지 서독의 Neckarsulm에 배치되었다. 제209 특과군은 오클라호마 주의 포트 실에서 1958년부터 1964년까지 담당했다.

레드스톤은 500kt의 W18 "Super Oralloy" 탄두 또는 3.8MT의 W39 수소 폭탄을 장착했으며, 1958년 8월 태평양의 존스턴 섬에서 실시된 하드택 작전에 사용되었다.

1961년까지 생산되었고, 1964년 MGM-31 퍼싱 미사일로 대체되면서 퇴역했다.

2. 1. 개발 배경



레드스톤 미사일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V-2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4]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독일 로켓 기술자들은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V-2 로켓 기술을 활용하여 레드스톤 미사일을 개발했다.[4]

1950년 앨라배마 주 헌츠빌의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에서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지대지 미사일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1952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34] 크라이슬러가 1952년에 미사일 생산과 지원 장비 생산을 수주하여 미시간 주 워렌의 미시간 미사일 공장에서 생산했다.[34] 노스아메리칸 항공기 회사의 로켓다인 부문은 로켓 엔진을 공급했고, 스페리 랜드 사의 일부 부문인 포드 인스트루먼트 사는 유도 및 제어 장치를 공급했으며, 레이놀즈 메탈 사는 크라이슬러 사의 하청업체로서 동체 조립을 맡았다.[34]

1953년 8월 20일 케이프 커내버럴의 LC-4A에서 첫 번째 레드스톤 미사일이 발사되었으나, 엔진 고장으로 1분 20초 만에 바다로 추락했다. 1954년 1월 27일에 실시된 두 번째 시험에서는 미사일이 55마일(88.5km)을 비행하며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4]

냉전 초기, 미국은 소련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레드스톤 프로그램은 핵전쟁에 대한 서로 다른 아이디어 때문에 육군과 공군 사이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육군은 전술 전장 무기로 소형 탄두를 이동식 미사일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ICBM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공군은 소련의 목표를 타격하고 소련의 인프라와 전쟁 수행 능력을 빠르게 마비시킬 수 있는 대형 대륙 횡단 미사일을 원했다.

1958년 8월, 레드스톤은 500kt의 W18 "Super Oralloy" 탄두 또는 3.8MT의 W39 수소 폭탄을 장착하고 태평양의 존스턴 섬에서 실시된 하드택 작전에 사용되었다.

발사 전에 연료를 주입할 필요가 없는 저장 가능한 새로운 고체 연료 미사일의 등장으로 레드스톤은 쓸모없게 되었고 1961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1964년, 레드스톤 미사일은 퍼싱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2. 2. 운용 및 퇴역

1950년 앨라배마 주 헌츠빌의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에서 베르너 폰 브라운의 지휘 아래 개발이 시작되었고, 1952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34] 크라이슬러가 생산을 담당했고, 로켓다인은 로켓 엔진을, 포드 인스트루먼트 사는 유도 및 제어 장치를 공급했다.[34]

1953년 최초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부대 배치는 1958년 6월에 시작되었다.[13][14] 핵미사일로 서독 주둔 제40 야전 포병군에 배치되었다. 1958년부터 1964년 6월까지 서독의 Kreuznach와 Wackernheim에 배치되었으며, 제46 특과군으로 1959년부터 1964년 6월까지 서독의 Neckarsulm에 배치되었다. 제209 특과군은 오클라호마 주의 포트 실에서 1958년부터 1964년까지 담당했다.

레드스톤은 500kt의 W18 "Super Oralloy" 탄두 또는 3.8MT의 W39 수소 폭탄을 장착했으며, 1958년 8월 태평양의 존스턴 섬에서 실시된 하드택 작전에 사용되었다.

1961년까지 생산되었고, 1964년 MGM-31 퍼싱 미사일로 대체되면서 퇴역했다.

3. 기술적 특징

레드스톤은 동력 비행을 위한 추력 장치와 전체 미사일 제어 및 목표물에 대한 탄두 전달을 위한 미사일 본체로 구성되었다. 동력 비행 중 레드스톤은 25% 에틸 알코올과 75% 물 혼합물에 액체 산소(LOX)를 산화제로 사용하여 연소했다. 후기 레드스톤은 연료로 60%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UDMH)과 40% 디에틸렌트리아민(DETA)을 사용했다.[5][6][7] 미사일 본체는 계측 장치가 있는 후방 장치와, 탄두 격실 및 레이더 고도계 뇌관이 있는 탄두 장치로 구성되었다. 미사일 본체는 동력 비행 종료 후 20~30초 후에 목표물까지의 사전 설정된 거리에 의해 결정되어 추력 장치와 분리되었다. 본체는 목표 충돌 지점까지 제어된 탄도 궤도를 따라 계속 이동했다. 추력 장치는 자체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탄도 궤도를 따라 계속 이동하여 지정된 목표물보다 짧은 지점에 충돌했다.

핵무기 탑재 레드스톤은 3.8 메가톤의 위력을 가진 W39 탄두(MK 39Y1 Mod 1 또는 MK 39Y2 Mod 1)를 탑재했다.[8][9][10][11]

3. 1. 제원 (PGM-11A)

레드스톤은 전장 21.1 m, 직경 1.78 m, 발사 중량 27,800 kg이다.[35] 추진 기관은 노스 아메리칸 항공/로켓다인 NAA75-100 (A-6) 액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연료는 에탄올 수용액, 산화제는 액체 산소를 사용한다.[5][6][7] 추력은 347 kN, 속도는 마하 5.5이며, 사정거리는 325 km이다.[35] 정확도는 300 m (CEP)이며, W39 핵탄두 (4 Mt)를 탑재했다.[8][9][10][11][35]

레드스톤은 동력 비행을 위한 추력 장치와 전체 미사일 제어 및 목표물에 대한 탄두 전달을 위한 미사일 본체로 구성되었다. 동력 비행 중 레드스톤은 25% 에틸 알코올과 75% 물 혼합물을 사용했다. 미사일 본체는 계측 장치가 있는 후방 장치와, 탄두 격실 및 레이더 고도계 뇌관이 있는 탄두 장치로 구성되었다. 미사일 본체는 동력 비행 종료 후 20~30초 후에 목표물까지의 사전 설정된 거리에 의해 결정되어 추력 장치와 분리되었다. 본체는 목표 충돌 지점까지 제어된 탄도 궤도를 따라 계속 이동했다. 추력 장치는 자체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탄도 궤도를 따라 계속 이동하여 지정된 목표물보다 짧은 지점에 충돌했다.

핵무기 탑재 레드스톤은 3.8 메가톤의 위력을 가진 W39 탄두(MK 39Y1 Mod 1 또는 MK 39Y2 Mod 1)를 탑재했다.


4. 파생형

1955년, 주피터-C 로켓(나중의 관련 없는 주피터 IRBM과 혼동하지 말 것)이 대기 및 재진입 시험을 위해 향상된 레드스톤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연소 시간을 늘리기 위해 연료 탱크를 늘렸고, 하이드인으로 알려진 연료 혼합물을 연소하는 새로운 엔진을 탑재했다. 주피터 C/주노 1이라는 이름으로 1958년 익스플로러 1호 위성의 미국 최초의 성공적인 우주 발사에 사용되었다.[12]

머큐리-레드스톤 발사체는 레드스톤의 파생형으로, 연료 탱크의 길이가 1.8m 늘어났으며, 1961년 5월 5일 앨런 셰퍼드를 준궤도 비행에 발사하여 두 번째 인간이자 최초의 미국인 우주 비행사가 되는 데 사용되었다.[12] 주피터 C의 더 긴 연료 탱크를 유지했지만, 하이드인 대신 에틸 알코올/물을 추진제로 다시 사용했다.

1966년부터 1967년까지, 스파르타로 불리는 일련의 잉여 개조 레드스톤오스트레일리아 우머라에서 발사되었으며, 재진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미국-영국-호주 공동 연구 프로그램의 일환이었다. 이 레드스톤에는 두 개의 고체 연료 상단이 추가되었다. 미국은 1967년 11월 호주의 첫 번째 위성 발사, WRESAT를 위해 여분의 스파르타를 기증했다.

4. 1. 주피터-C/주노 I

레드스톤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주피터-C는 3단 로켓으로, 대기권 재진입 실험 및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었다.[12] 1단은 레드스톤 SRBM의 연료 탱크를 연장하여 연료 용량을 늘리고 연소 시간을 늘렸다.[12] 엔진은 A-6를 개량한 A-7을 사용했다. 또한, 연료는 에탄올 수용액에서 하이드인으로 변경하여 추력과 비추력을 향상시켰다.[12] 2단은 서전트 SRBM에서 파생된 소형 고체 연료 로켓 "베이비 서전트" 11개를 원환상으로 배열한 것이며, 2단 중앙에는 같은 종류의 고체 연료 로켓 3개가 3단으로 장착되었다.[12]

주노 I은 주피터-C의 4단 로켓 버전으로, 1958년 미국의 첫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12] 주피터 C 로켓 위에, 선단에 위치한 인공위성과 일체화된 추력 816kg의 "베이비 서전트" 고체 로켓 1개를 4단으로 장착한 것이 주노 I이다.[12] 이 로켓 모터는 마지막까지 인공위성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되어 궤도를 돈다.[12]

4. 2. 머큐리-레드스톤 발사체

머큐리-레드스톤 발사체는 레드스톤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유인 우주 발사체이다.[12] 1961년 5월 5일 앨런 셰퍼드의 준궤도 비행을 포함하여 미국의 초기 유인 우주 비행에 사용되었다.[12] 머큐리 계획의 성공은 미국의 우주 개발 경쟁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머큐리-레드스톤 발사체는 레드스톤의 파생형으로, 연료 탱크의 길이를 늘였다.[12] 머큐리 우주선을 비행 거리 약 380km, 고도 220km, 비행 속도 6800km/h에 도달시키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우주 비행사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개량이 이루어졌다.

연료 탱크는 주피터-C 1단과 동일하게 연장 확대된 것을 사용했다. 엔진은 주피터 C와 동일한 A-7을 사용했다. 또한 사용 연료를 하이드라진(Hydyne)에서 에탄올 수용액으로 되돌렸다.

머큐리 캡슐과 로켓 연료 탱크 사이에는 "후방 섹션"이라고 불리는 로켓의 관성 유도 장치를 포함한 전자 장비 및 장비가 탑재된 부분이 있었다. 이 "후부 섹션"은 로켓 부분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머큐리 캡슐과는 분리되었다. 분리 후 캡슐은 자체 유도 장치로 유도되었다. 기타 변경 사항으로는, 레드스톤 미사일에 사용된 관성 유도 장치 ST-80이 LEV-3 자동 조종 장치로 변경되었다. LEV-3은 ST-80만큼 세련되고 정밀하지는 않지만, 머큐리 미션에는 충분한 정밀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간소한 시스템은 비행을 확실하게 했다.

5. 핵실험

6. 영향 및 의의

7. 관련 군사 작전

8. 같이 보기

V-2 로켓, PGM-19 주피터, 퍼싱 미사일, 미사일 목록, 대한민국의 미사일 개발, 가우리 (미사일), J-600T 이을드름, SOM, 보라, 파테-313, 키암 1, 알-후세인, 잘잘, 톤다르-69, 부르칸-1

참조

[1] 웹사이트 Redstone http://www.astronaut[...]
[2] 간행물 Redstone Rocket, Hardtack-Teak Test, August 1958 https://www.youtube.[...] 1958-08
[3] 웹사이트 Redgap, Curtis 'The Chrysler Corporation Missile Division and the Redstone missiles', 2008 Orlando, Florida. Retrieved Oct 8 2010 http://www.allpar.co[...] 2008-03-06
[4] 웹사이트 The Origin of Redstone's Name https://web.archive.[...] US Army, Redstone Arsenal 2010-10-09
[5] 서적 History of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s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6
[6] 서적 The Redstone Engine http://www.enginehis[...] Aircraft Engine Historical Society 2016-02-26
[7] 서적 History of the Redstone Missile System https://web.archive.[...] Army Missile Command 2016-02-26
[8] 서적 The Swords of Armageddon Chucklea Publications 1995
[9] 서적 The Swords of Armageddon Chucklea Publications 1995
[10] 서적 The Swords of Armageddon Chucklea Publications 1995
[11] 웹사이트 Redstone Missile (PGM-11) https://web.archive.[...] Aviation and Missile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enter 2015-01-09
[12] 문서 Turnill 1972
[13] 웹사이트 USAREUR Units & Kasernes, 1945 - 1989 http://www.usarmyger[...]
[14] 웹사이트 USAREUR Units & Kasernes, 1945 - 1989 http://www.usarmyger[...]
[15] 웹사이트 Redstone Missile https://airandspace.[...] Smithsonian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2017-10-11
[16] 서적 The Redstone Missile – Warren, NH https://web.archive.[...] Bryan Flagg
[17] 웹사이트 Permanent Exhibits https://www.rocketce[...] US Space and Rocket Center 2017-10-11
[18] 웹사이트 Battleship Park http://heroicrelics.[...] 2017-10-11
[19] 웹사이트 Displays http://afspacemuseum[...] Air Force Space and Missile Museum 2017-10-11
[20] 웹사이트 Redstone Nuclear Warhead http://cosmosphereto[...] Kansas Cosmosphere 2017-10-11
[21] 웹사이트 Bomarc, Mace, Snark, Redstone, Minuteman II missiles http://nuclearmuseum[...] National Museum of Nuclear Science and History 2017-10-11
[22] 웹사이트 Redstone http://www.wsmr-hist[...] White Sands Missile Range Museum 2017-10-11
[23] 웹사이트 Space Flight https://www.evergree[...] Evergreen Aviation Museum 2017-10-11
[24] 웹사이트 MSFC Rocket Garden http://heroicrelics.[...] 2017-10-11
[25] 웹사이트 KSC Mercury-Redstone Boosters http://www.americans[...] 2017-10-11
[26] 웹사이트 This Jupiter-C Rocket Sits Alongside Mr... http://projecthabu.c[...] 2017-10-11
[27] 웹사이트 Air Zoo http://heroicrelics.[...] 2017-10-11
[28] 웹사이트 Museum of Life+Science http://www.americans[...] 2017-10-11
[29] 웹사이트 Parque de las Ciencias Luis A. Ferré http://www.americans[...] 2017-10-11
[30] 웹사이트 Mercury-Redstone http://www.americans[...] 2017-10-11
[31] 웹사이트 US Space and Rocket Center http://heroicrelics.[...] 2017-10-11
[32] 웹사이트 Inside Kennedy Space Center's New Heroes & Legends Exhibits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17-10-11
[33] 웹사이트 Retrieving Woomera's heritage: recovering lost examples of the material culture of Australian space activities https://web.archive.[...] 2024-09-07
[34] 웹사이트 The Origin of Redstone's Name http://www.redstone.[...] US Army, Redstone Arsenal 2010-10-09
[35] 웹사이트 PGM-11 http://www.designati[...] Designation-Systems.Net 2007-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